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 2026년 신청 준비 팁 알아보기

by 수잔0620 2025. 7. 23.

서울시가 주거비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습니다. 2025년도 청년월세지원 사업을 통해 최대 24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서울시, 청년 1만5000명에게 월세 최대 240만원 지원


서울시가 주거비 부담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을 위해 2025년도 청년월세지원 신청을 받습니다.

 

이번 사업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세부터 39세 청년 1만 5000명을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 원씩 12개월간 총 240만 원의 월세를 지원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신청은 2025년 6월 11일부터 24일까지 서울주거포털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받으며, 신청 마감 시간은 24일 오후 6시까지입니다.

 

시는 청년층의 실질적인 주거비 완화를 위해 올해 지원 인원을 확대하고, 주거 형태와 계약 방식에 따라 보다 다양한 대상이 신청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특히, 임대차 계약을 개별적으로 체결한 쉐어하우스(공유주택) 거주자도 조건을 충족할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 조건 및 대상 -  1인 가구, 무주택 청년 중심


지원 대상은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된 만 19~39세의 무주택 청년 1인 가구입니다. 2025년 기준, 1985년부터 2006년 사이에 출생한 청년이 대상에 해당합니다.

 

신청자는 반드시 임대차계약서상 임차인 본인이어야 하며, 한 집에 형제·자매 혹은 동거인이 함께 거주할 경우에도 1명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보증금과 월세 기준도 명확히 제시되었습니다. 임차보증금은 8,000만 원 이하, 월세는 60만 원 이하인 주택에 거주해야 하며, 월세가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보증금 환산액(5% 환산율 적용)과 월세 합산액이 93만 원 이하인 경우 신청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 3,000만 원에 월세 80만 원의 경우에도 환산 기준에 따라 92만 원으로 계산돼 신청 자격이 됩니다.

 

 

소득 기준과 제외 대상도 엄격히 관리


신청 자격을 평가할 때는 신청인의 2025년도 건강보험료 부과액을 기준으로 소득을 판단합니다.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직장가입자 12만7,230원, 지역가입자 5만8,386원)에 해당해야 하며, 신청인이 피부양자인 경우 부양자의 보험료를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재산 기준도 적용됩니다. 일반재산 총액이 1억3,000만 원을 초과하거나, 시가표준액 2,500만 원 이상의 차량을 보유한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또한 주택 소유자(분양권·입주권 포함), 공공임대주택 거주자, 국민기초생활수급자, 기존 청년월세지원 수혜자, 정부나 자치구에서 유사 지원을 받고 있는 사람들도 이번 지원에서 제외됩니다.

 

 

최종 선정은 구간별 무작위 추첨 방식…10월부터 지원금 지급


서울시는 신청자의 임차보증금, 월세, 소득 수준에 따라 4개 구간으로 나누어 선정할 예정입니다. 각 구간에 일정 인원을 배정하고, 인원이 초과될 경우에는 구간별로 전산 무작위 추첨을 통해 최종 수혜자를 선정합니다.

 

이 과정은 오는 9월 중 완료되며, 선정된 청년은 10월 말부터 1차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임차보증금 1,000만 원 이하, 월세 50만 원 이하 구간에는 전체 지원 인원의 75%에 해당하는 1만1,250명을 집중 배정해, 저소득 청년의 주거 안정을 우선적으로 지원한다는 계획입니다.

 

시는 앞으로도 청년층의 주거 불안을 완화하고 자립을 돕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신청 후에는 서울주거포털 마이페이지에서 신청 현황, 이의신청, 발표까지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번 신청기회를 놓친 경우, 어떻게?

 

2025년 청년월세지원 모집은 올해 6월 24일로 마감되어 현재 선정 대상 검토 및 결과 발표 단계입니다. 따라서, 혹시 이번 신청 기한을 놓쳤다면, 다음 신청 기회는 공고 시기를 지켜봐야 합니다.

 

신청 대비 팁으로는, 공고게시 신청은 연 1회로 보통 6월 중 진행됩니다. 대체로 상·하반기 중 3~4개월 전에 안내되기 떄문에 내년 2월 쯤부터 서울주거포털 및 청년정책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서 신청 기한을 체크해야 합니다. 

 

신청을 위해 신청 가능 조건 유지도 해야합니다. 무주택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월세 및 보증금 기준을 충족하도록 하면 되겠습니다. 

 

혹시 이번에 신청 못하신 분들은 내년에 꼭 신청 성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